급증하는 여성 ADHD, 뒤늦은 진단이 인생을 바꾸는 이유 5가지

‘나는 왜 이럴까?’ 자책했던 당신에게. 여성 ADHD는 당신의 게으름이 아니라 뇌의 차이입니다. 늦은 나이에 받는 ADHD 진단이 왜 인생을 바꾸는 중요한 경험인지, 주요 증상과 치료법, 긍정적 변화까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급증하는 여성 ADHD, 뒤늦은 진단이 인생을 바꾸는 이유



■ ‘이상한 나’를 이해하게 되는 순간, 여성 ADHD 진단

  • 혹시 스스로가 남들과 다르다고 느껴본 적이 있나요? 학창 시절에는 ‘산만하다’, ‘게으르다’, ‘멍 때린다’는 말을 들었고, 어른이 되어서는 ‘왜 이렇게 덜렁댈까’, ‘왜 하나를 끝내지 못할까’ 하는 자책감에 시달리지는 않았는지요. 많은 여성들이 이런 감정을 느끼지만, 자신의 문제를 단순히 성격 탓으로 여기며 살아갑니다.
  • 과거에는 ADHD가 주로 ‘말썽꾸러기 남자아이’에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ADHD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여성은 주의력 결핍(Inattentive) 유형이 많아 조용히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 늦은 나이에 받는 ADHD 진단은 단순한 질병 확인을 넘어, 오랜 시간 자신을 괴롭혔던 의문들에 대한 답을 얻는 **’발견’**에 가깝습니다.

■ 여성 ADHD의 특징과 뒤늦은 진단이 가져오는 변화

1. 여성 ADHD, 전통적인 ADHD와 어떻게 다른가요?

♣ ADHD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과잉행동-충동형: 쉼 없이 움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합니다.
  • 주의력 결핍형: 집중력이 낮고 건망증이 심하며 정리정돈에 어려움을 느낍니다.
  • 복합형: 위 두 가지 특징이 모두 나타납니다.

호주 퀸즐랜드대학교의 케이트 위티빈 박사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보다 주의력 결핍형 ADHD를 겪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 유형은 눈에 띄는 과잉행동이 없어 겉으로 보기에 조용하고 차분해 보이기 때문에 간과되기 쉽습니다.

여성 ADHD의 주요 증상

  • 산만함
  • 건망증
  • 시작과 끝의 어려움
  • 정리정돈의 어려움
  • 부주의한 실수
  • 과도한 공상

2. 진단 전, 여성들이 겪는 삶의 어려움

진단받지 않은 ADHD는 여성의 삶 전반에 걸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이자 작가인 사라 헤이든(Sarah Hayden)은 “ADHD 여성들은 매우 충동적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계획 없이 시작한 일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거나, 관계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녀는 “다른 사람들은 당연하게 여기는 일도 ADHD 여성들에게는 고통스러운 일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위티빈 박사의 연구는 여성 ADHD가 정서적, 심리적 웰빙, 관계, 교육, 경력 등 삶의 모든 영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뇌가 환경에 잘 맞지 않는다고 느끼며, ‘나는 뭔가 잘못된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됩니다. 인터뷰에 참여한 여성들은 진단 후 “내가 무능한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늦은 진단은 이들에게 오랜 자책감에서 벗어나 자신을 이해하고 용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3. 뒤늦은 진단의 촉매제: 자녀의 ADHD 진단

많은 여성들이 자신도 ADHD일 수 있다는 의심을 하게 되는 계기는 바로 자녀의 ADHD 진단입니다. ADHD는 유전적 요인이 매우 강한 질환이기 때문에, 자녀가 ADHD 진단을 받게 되면 부모 역시 자신에게 비슷한 증상이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사라 헤이든은 자신의 큰딸이 ADHD 진단을 받는 과정에서 본인이 ADHD임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딸의 진단 과정에서 작성해야 했던 질문지에 답변하면서 “이것은 전부 나에게 해당되는 이야기”라고 느꼈다고 합니다. 이처럼 자녀의 진단은 오랜 의문을 풀고, 부모 자신이 정식 진단을 받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됩니다. 위티빈 박사의 연구에서도 “거의 모든 인터뷰 참가자가 자녀가 진단받았기 때문에 자신도 진단을 받거나, 혹은 자신이 진단받은 후 자녀가 진단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4. 여성 ADHD 진단 급증의 원인: 높아진 인식과 호르몬 변화

최근 몇 년 사이 성인 여성의 ADHD 진단 및 약물 처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호주심리학회에 따르면, 2022~2023년 사이 성인 ADHD 약물 처방은 10년 전보다 무려 450% 증가했으며, 이 중 52%가 여성이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ADHD가 갑자기 많아진 것이 아니라, 여성 ADHD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위티빈 박사는 “ADHD는 평생 지속되는 질환이지만, 성인이 되어서야 진단받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인생의 중요한 전환기(고등학교, 대학, 출산, 폐경 등)에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증상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폐경(menopause) 시기의 호르몬 변화가 ADHD 증상을 심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떨어지면서 뇌의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 분비에 문제가 생기고, 이는 ADHD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이 시기 여성들은 직장과 가정에서 많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감정적, 인지적 부담이 커지는데, 여기에 호르몬 변화까지 겹치면서 그동안 유지해온 대처 메커니즘이 무너지게 되는 것입니다.

5. 뒤늦은 진단이 가져오는 긍정적 변화

ADHD 진단은 ‘결함’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첫걸음입니다. 위티빈 박사는 ADHD라는 용어가 때때로 약점만을 강조한다고 지적하며, ADHD를 가진 사람들이 지닌 긍정적인 강점을 강조합니다.

  • 압박감 속에서 침착함 유지
  •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
  • 큰 그림을 보는 능력
  • 매우 창의적이고 공감 능력 뛰어남
  • 직관력 발달

이러한 강점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ADHD 여성들은 훨씬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진단은 자신을 위한 자기 옹호(self-advocacy)자기 연민(self-compassion) 을 시작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자신의 뇌 작동 방식에 맞는 치료, 약물, 유연한 근무 환경 등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줍니다.

진단 후에도 삶은 혼돈스러울 수 있지만, 사라 헤이든은 “나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게 되면서 삶을 더 쉽게 만드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뒤늦은 진단은 오랜 시간 자신을 깎아내렸던 “내가 왜 이럴까?”라는 질문을 “나는 원래 이렇게 생겨먹었구나”라는 깨달음으로 바꿔줍니다. 이는 자기 수용과 자기 용서를 통해 마침내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할 수 있는 힘을 줍니다.하며, 자신의 뇌 작동 방식에 맞는 치료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5가지

  • Q: 성인 여성이 ADHD를 의심해볼 만한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 A: 성인 여성 ADHD의 주요 증상에는 건망증, 집중력 부족, 정리정돈의 어려움, 충동적인 행동, 그리고 과도한 공상 등이 있습니다. 특히 겉으로 드러나는 과잉행동보다는 내면의 산만함과 불안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나는 왜 이렇게 게으르고 덜렁댈까?’라는 자책감이 자주 든다면 ADHD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Q: 왜 ADHD 진단이 성인 여성에게 늦게 내려지는 경우가 많은가요?
    • A: 전통적으로 ADHD는 남자아이의 과잉행동에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에, 조용하고 부주의한 증상을 보이는 여성 ADHD는 간과되기 쉬웠습니다. 또한 여성은 사회적 기대에 맞춰 자신의 증상을 숨기려는 경향이 강해, 불안이나 우울증 같은 다른 질환으로 오진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 Q: ADHD 진단을 받으면 인생이 어떻게 바뀌나요?
    • A: 늦은 ADHD 진단은 그동안 자신을 괴롭혔던 ‘내가 이상한 사람인가’라는 의문에 답을 줍니다. 이는 자기 비난에서 벗어나 자신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계기가 됩니다. 진단 후에는 자신에게 맞는 치료와 지원을 받을 수 있고, ADHD의 강점인 창의성과 공감 능력을 활용해 더욱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 Q: 여성 ADHD는 폐경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 A: 폐경기에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하면 뇌의 도파민 분비에 영향을 미쳐 ADHD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직장과 가정의 역할이 많아지면서 감정적 부담이 커지는데, 호르몬 변화까지 겹치며 그동안 숨겨왔던 ADHD 증상이 표면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Q: ADHD 진단 절차는 어떻게 되며, 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 A: ADHD 진단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 심리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비용과 절차는 병원마다 다르므로, 먼저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에서는 국민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비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뒤늦은 진단은 새로운 삶의 시작

여성 ADHD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어려움에 이름을 붙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늦은 나이에 받은 진단은 결코 ‘늦은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수십 년간 자신을 짓눌렀던 고통과 의문들을 해소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자신이 ADHD일 수도 있다고 의심된다면,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나 심리 상담사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자신에게 맞는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진단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자신의 뇌를 이해하고, 강점을 활용하며, 필요한 도움을 받는다면 그동안 혼란스러웠던 삶은 훨씬 더 풍요롭고 만족스럽게 바뀔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및 보고서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