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시리 개인정보 침해 관련 9500만 달러 집단소송 합의! 미국 내 사용자 대상 보상 신청 자격, 방법, 마감일을 확인하고 국내 사용자의 향후 대처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아이폰, 맥북 등 애플 기기 사용자라면 꼭 알아야 할 정보입니다.

■ 애플 사용자에게 날아든 소식, 시리 개인정보 침해 집단소송 합의
애플 사용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특히 아이폰, 맥북, 애플 TV 등에서 음성 비서 ‘시리(Siri)’를 자주 활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더욱 귀 기울여야 할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애플이 시리의 개인정보 무단 수집 및 활용과 관련하여 제기된 집단 소송에서 총 9,500만 달러 (한화 약 1,300억 원 규모)에 합의했다는 내용입니다.
이번 합의는 2021년 캘리포니아에서 푸미코 로페즈라는 사용자가 “애플이 시리를 통해 사용자의 동의 없이 사적인 대화를 불법적으로 가로채고 녹음했으며, 이를 무단으로 공개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한 데 따른 것입니다. 해당 소송에서는 애플이 소비자의 사생활 보호 권리를 의도적으로 침해했으며, 만약 이러한 사실을 알았다면 소비자들은 시리 탑재 기기를 구매하지 않았거나 더 적은 비용을 지불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물론 애플은 이번 합의에 동의하면서도 소송에서 제기된 모든 혐의를 부인하며, 어떠한 부적절하거나 불법적인 행위도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합의는 스마트 기기 시대에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번 애플 시리 집단소송 합의의 주요 내용과 함께, (미국 내) 보상 신청 자격 및 방법, 그리고 우리 모두가 생각해봐야 할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애플 기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번 정보를 통해 혹시 모를 권리를 찾고, 소중한 개인정보를 더욱 안전하게 지키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애플 시리 집단소송 합의, 무엇을 알아야 할까?
애플 시리(Siri) 개인정보 침해 관련 집단소송 합의는 많은 애플 사용자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본론에서는 소송의 배경부터 합의 내용, 보상 신청 자격과 방법, 그리고 이번 사건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까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Apple Siri Class Action Lawsuit Settlement: What Users Need to Know About the $95 Million Payout and Protecting Privacy (2025 Update)
♣ 게재 보고서: TIME – What to Know About the Apple Class Action Lawsuit Settlement—and How You Can File a Claim
♣ 보고서 작성자: Rebecca Schneid
♣ 게재 일시: 2025년 5월 15일 오전 12:58 KST (원문 기준)
1. 논란의 시작: 시리는 정말 우리의 대화를 엿듣고 있었나? – 소송의 배경과 쟁점
이번 집단소송의 발단은 202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캘리포니아의 푸미코 로페즈는 애플이 시리를 통해 사용자의 동의 없이 사적인 대화를 불법적으로 가로채고 녹음했으며, 이를 제3자에게 공개했을 가능성까지 제기하며 소송을 시작했습니다.
♣ 핵심 쟁점:
- 무단 녹음 및 전송: 사용자가 “Hey Siri”라고 부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시리가 활성화되어 대화 내용을 녹음하고 애플 서버로 전송했는지 여부.
- 사생활 침해의 정도: 특히 집과 같이 가장 사적인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화가 녹음되었다면, 이는 심각한 사생활 침해에 해당한다는 주장.
- 소비자 기만: 애플이 이러한 사실을 소비자에게 충분히 알리지 않고 시리 탑재 기기를 판매했다면, 이는 소비자 기만에 해당할 수 있다는 지적.
원고 측은 “애플이 의도적이고 고의적으로, 그리고 알면서도 소비자의 사생활 권리를 침해했으며, 이는 소비자가 가장 큰 프라이버시를 기대하는 자신의 집 안에서도 발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원고와 집단 구성원들은 애플이 동의나 승인 없이 자신들의 대화를 가로채고, 녹음하고, 공개하고, 달리 오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시리 기기를 구입하지 않았거나 그보다 적은 비용을 지불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실 시리의 개인정보 수집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이전에도 애플은 시리 음성 명령의 일부를 외주업체 직원들이 듣고 분석하도록 하여 품질 개선에 활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큰 비판을 받은 바 있습니다. 당시 애플은 2019년 “Siri의 개인 정보 보호 강화”라는 성명을 통해 “높은 이상에 전적으로 부응하지 못했다”고 인정하며 개선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기된 이번 소송은 애플의 개인정보보호 정책과 실제 운영 방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애플의 입장과 합의: 9,500만 달러는 무엇을 의미하나?
애플은 2024년 12월 31일, 총 9,500만 달러 규모의 합의에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애플이 합의에는 동의했지만, 소송에서 제기된 모든 주장은 부인했다는 것입니다. 합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애플은 소송에서 제기된 모든 주장을 부인하며, 부적절하거나 불법적인 행위를 저질렀다는 점을 부인합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법적 공방을 계속 이어가는 대신, 소송을 조기에 종결함으로써 추가적인 법적 비용과 기업 이미지 손상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거액의 합의금은 애플이 일정 부분 책임을 인정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법적으로는 혐의를 인정한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이 9,500만 달러는 어떻게 사용될까요? 이 금액은 소송에 참여한 집단 구성원들에게 보상금으로 지급되고, 변호사 비용 및 소송 관련 행정 비용 등을 처리하는 데 사용될 예정입니다.
3. 누가 보상받을 수 있나? – 보상 신청 자격 요건 (미국 해당)
이번 합의에 따른 보상 신청은 미국 및 미국령 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한국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직접적인 보상 대상에 해당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미국 거주 경험이 있거나, 해당 기간 동안 미국에서 애플 기기를 구매 또는 소유했던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아래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보상 신청 자격 요건:
구분 | 내용 |
대상 기기 소유/구매 | 아이폰(iPhone), 아이패드(iPad), 애플 워치(Apple Watch), 맥북(MacBook), 아이맥(iMac), 홈팟(HomePod), 아이팟 터치(iPod touch), 애플 TV(Apple TV) 등 Siri 탑재 기기 |
대상 기간 | 2024년 9월 17일부터 2024년 12월 31일 사이에 해당 기기를 소유했거나 구매한 경우 |
지역 조건 | 미국 또는 미국령 내에서 Siri가 활성화된 해당 기기를 구매했거나 소유한 경우 |
경험 조건 | 합의 계약에 따르면, 적격 당사자는 “비밀 또는 사적인 통신 중에 의도하지 않은 Siri 활성화를 경험“했어야 합니다. |
♣ 보상 신청 제외 대상:
- 애플 직원
- 애플의 법률 대리인
- 해당 소송을 담당한 사법관
이처럼 보상 자격 요건이 특정 기간과 지역, 그리고 경험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해당되시는 분들은 신중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4. 어떻게 신청하고,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 보상 신청 방법 및 마감일 (미국 해당)
미국 내 해당 자격을 갖춘 분들은 다음의 방법으로 보상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보상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합의 관련 웹사이트(https://www.lopezvoiceassistantsettlement.com/ – 해당 웹사이트 주소는 예시이며, 실제 합의 웹사이트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제공된 기사에서는 구체적인 URL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보통 ‘Settlement Website’로 검색 가능합니다.)를 통해 온라인으로 청구 양식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최대 5대 기기 신청 가능: 한 사람이 최대 5대의 시리 기기에 대해 보상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 주요 마감일:
- 보상 청구 마감일: 2025년 7월 2일
- 선택 포기(Opt-out) 마감일: 2025년 7월 2일
♣ 선택 포기(Opt-out)란?
만약 이번 집단소송 합의에 따른 보상을 받는 대신, 애플을 상대로 개별적인 소송을 제기할 권리를 유지하고 싶다면 ‘선택 포기’를 할 수 있습니다. 선택 포기를 하면 이번 합의에 따른 보상금을 받을 수 없지만, 해당 사건과 관련된 주장에 대해 애플에 대해 다른 소송을 제기할 권리는 유지됩니다. 마감일은 보상 청구 마감일과 동일한 2025년 7월 2일입니다.
♣ 수신 여부:
일부 보상 대상자에게는 “Lopez Voice Assistant Class Action Settlement”이라는 제목의 엽서나 이메일이 발송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 안내문에는 청구 식별 코드(Claim Identification Code)와 확인 코드(Confirmation Code)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청구 시 이 코드를 사용하면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안내를 받지 못한 애플 고객이라도 자격 요건을 충족한다면 여전히 보상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5. 언제쯤 보상금을 받을 수 있을까? – 지급 예상 시기 (미국 해당)
보상금 지급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 최종 승인 심리: 법원은 2025년 8월 1일에 최종 승인 심리를 열 예정입니다.
- 항소 가능성: 최종 승인 심리 이후에도 항소가 제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급은 더욱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지급 시기: 보상금은 모든 항소가 해결된 이후에야 지급될 예정입니다.
정확한 지급 시기와 일정은 합의 웹사이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므로, 해당자들은 웹사이트 공지를 주시해야 합니다.
6. 한국 사용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노력
앞서 언급했듯이, 이번 합의에 따른 직접적인 보상 신청은 미국 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애플 사용자들은 이번 사건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 타산지석(他山之石)의 교훈: 비록 직접적인 보상 대상이 아니더라도, 이번 사건은 스마트 기기 사용에 있어 개인정보 보호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애플과 같은 글로벌 기업조차 개인정보 관련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스마트 기기가 잠재적인 개인정보 수집 및 유출의 위험을 안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애플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관심: 이번 사건을 계기로 애플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자신의 기기에서 개인정보 설정을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앱과 서비스가 어떤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Siri 개인정보 설정 방법 (예시):
- Siri 및 받아쓰기 개선 참여 중단: 설정 >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 분석 및 향상 > ‘Siri 및 받아쓰기 개선’ 비활성화
- Siri 및 검색 기록 삭제: 설정 > Siri 및 검색 > Siri 및 받아쓰기 기록 > Siri 및 받아쓰기 기록 삭제
- “Siri야” 듣기 비활성화: 설정 > Siri 및 검색 > “‘Siri야’ 듣기” 비활성화 (필요시에만 홈 버튼 또는 측면 버튼으로 Siri 호출)
- 참고: iOS 버전에 따라 메뉴명이나 경로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관심과 문제 제기: 국내에서도 스마트 기기의 개인정보 침해 사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자신의 권리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7. 개인정보 보호,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번 애플 시리 집단소송 합의는 비단 애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구글 어시스턴트, 아마존 알렉사 등 다양한 음성인식 비서 서비스와 스마트 기기들이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오면서, 개인정보 보호는 더욱 중요한 화두가 되었습니다.
♣ 스마트 시대, 개인정보를 지키는 생활 수칙:
- 서비스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 처리 방침 꼼꼼히 확인: 다소 길고 지루하더라도, 어떤 정보가 수집되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최소한 핵심 내용은 파악해야 합니다.
- 개인정보 설정 주기적 점검 및 관리: 스마트폰, PC, 앱 등의 개인정보 설정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불필요한 정보 접근 권한은 차단합니다.
-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및 주기적 변경: 여러 서비스에 동일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추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비밀번호를 사용하며 주기적으로 변경합니다. 2단계 인증(2FA) 설정은 필수입니다.
- 출처가 불분명한 앱 설치 자제 및 의심스러운 링크 클릭 금지: 악성코드 감염을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 공용 Wi-Fi 사용 시 민감 정보 입력 주의: 보안이 취약한 공용 Wi-Fi 환경에서는 금융 거래나 중요한 개인정보 입력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VPN 사용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최신 버전 유지: 운영체제(OS)와 애플리케이션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보안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개인정보는 한번 유출되면 되돌리기 매우 어렵고, 다양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술의 편리함을 누리는 동시에, 스스로 정보를 지키려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8. (참고) 이번 합의가 애플에 미치는 영향은?
이번 9,500만 달러의 합의금은 애플의 전체 규모에 비하면 큰 액수가 아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간접적인 영향은 있을 수 있습니다.
- 브랜드 이미지 및 소비자 신뢰도: 반복되는 개인정보 관련 논란은 애플의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정보보호’를 중요한 가치로 내세워 온 애플에게는 더욱 민감한 문제입니다.
- 개인정보보호 정책 강화 압력: 이번 합의를 계기로 애플은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투명하게 운영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향후 제품 개발 및 서비스 운영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소송 리스크 관리 비용 증가: 유사한 소송에 대비하기 위한 법률 비용 및 잠재적 합의금 등 리스크 관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이번 합의만으로 애플의 펀더멘털에 즉각적이고 심각한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 시리 집단소송 합의,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며
애플 시리(Siri) 개인정보 침해 관련 9,500만 달러 집단소송 합의는 미국 내 사용자들에게는 보상 신청의 기회를, 전 세계 애플 사용자들에게는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비록 한국 사용자들이 이번 합의의 직접적인 보상 대상이 되기는 어렵지만, 이번 사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스마트폰, AI 스피커 등 첨단 기술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이면에는 항상 개인정보 수집과 활용이라는 이슈가 존재합니다.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음성인식 비서가 우리의 사적인 대화까지 듣고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은 결코 가볍게 넘길 문제가 아닙니다. 이번 애플의 사례는 글로벌 IT 기업들조차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주며, 기업들에게는 더욱 엄격한 책임과 투명한 정보 공개를, 사용자들에게는 자신의 정보를 스스로 지키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애플 기기 사용자라면 이번 기회에 시리를 포함한 각종 서비스의 개인정보 설정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정보가 수집되고 있는지, 원치 않는 정보 제공에 동의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고, 불필요한 권한은 해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앞으로 새로운 기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꼼꼼히 읽어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술의 발전이 가져다주는 편리함 뒤에 숨겨진 위험을 인지하고, 소중한 나의 개인정보를 스스로 지켜나가는 현명한 디지털 시민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사건이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사회 전체의 경각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길 기대합니다.